제  목 :   평형침.족관절테이핑_염좌

###평형침 혈위 정리 **참고 : 새로운 평형침법 정리 http://kr.blog.yahoo.com/min7240/folder/3.htmlm=lc&tc=18&tt=1280808620 **동씨침법 http://blog.daum.net/kkj-3927/14288888  **단혈침법http://www.chim.or.kr/Share/Board/Board2_List.phpDB=jaruy&Mode=View&Num=1&start=0&S=S&val=0&Word=  **성뇌개규침법  http://blog.daum.net/hawk0404/12543193  **삼부혈지압법 http://blog.naver.com/javijungto/110048171014 MPS http://blog.naver.com/howhealth/90073600870

https://blog.naver.com/init100/220152834855

---------

[[족관절염좌..좌병우취, 우병좌취 원칙....프롤로 같이 해주고 테이핑 하면 특효]] 동씨침 치료와 동기요법 (치료 혈 : 소절, 오호, 토수 등) : 소절 혈은  오호5혈 바로 상부 위치..모지MP/PIP관절의 적백육제 수장측 함요에서 취혈, (자침은 2.5촌 이상 깊이, 침두는 뼈에 가깝게 손등 향함) 중선혈을 향해 사자함. 오호혈은 엄지 중간부에서 바깥부위를 모두 다섯으로 나누어 취혈, 특히 4번이 족관절염좌에는 중요. 토수혈은 손바닥을 벌린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의 지근골부위를 3으로 나누어 취혈(모<무>지내전근 횡두와 사선두 사이 주름선에 위치하는 중자-중선혈을 기준하여 보면,...중자혈은  식지중간연장선과 엄지 수장골 MP관절 근위부연장선이 만나는 곳을, 중선혈은 중자혈에서 엄지지골 외측단과 평행하게 하면서 1지정도 완골 혈 향해 이동시켜 취혈<중자는 합곡혈, 중선은 영골 혈 향해 직자>...따라서 토수혈은 중자-중선혈의 외측부에서  찾는 게 빠르며 뼈에 바짝 붙여서 자침, --- [족관절테이핑시 약간 당겨서 붙여 줄 것] 1차  테이핑은 발목을 직각상태에 두고, 뒤꿈치 근막 부착부에서 각각 시작하여 그대로 상행하여 내외과를 완전히 덮고 좀더 경골, 비골 일부까지 약간 덮고 하퇴근육 일부 덮도록, 2차 지지 테이핑((폭5cm짜리 대형 테잎 사용))은 발바닥중간부에서 각각 시작하여  발등에서 서로 교차시킨 후 내외과를 각각 덮도록,  여기에 3차테이핑은 (테이프를 중간부 1/2저도에서 약간 더 까지를 잘라 놓아야 하므로 대략 소요될 길이를 재보고 어느정도가 필요할 지, 어디까지 중간부를 잘라야 할지를 결정해 두라) 내과 직상부에서 시작하여 붙여서 발바닥을 지나 외과 하부에서 약간 당기면서 잘라 준 앞가지는 발등을 지나서 내과를 향해 사선으로 진행해서 (2차테이핑방향으로 붙이면 됨)붙이고, 뒷가지는 외과 뒤쪽으로 넘겨서 아킬레스를 싸고 돌아 반대쪽 내과 상부쪽으로 부착시킴...유투브 발목테이핑 참고 )

--------

@@@1. 두경부
#1.승제혈(백회혈 1촌 전방, 곧 두개최고점인 두정 부위점, 상성혈<발모 경계선 상 2촌>방향으로 4cm-3촌이상 자침,  체침 후 한쪽으로만 6-10회 염전 후 발침.) 편탄후유증 치료, 선행원인과 무관하게 내장기능조절/면역증강 작용
== 편탄(뇌중풍)후유증-중기하함, 위하수-자궁하수-탈항, 전신무력-만성피로증후군 -항노화작용, 모든장기계통의 만성질환
== 양위(임포)-조사(조루)-유증, 유뇨-전립선염-전립선비대, 급만성위장염-저혈압-호흡기질환-당뇨병의 보조혈
#2.요통혈(=인당 혈 상 1촌부위인 상인당혈<=상성과 인당의 중간부위>로서, 가운데 요통일 때는 인당쪽으로 하사자 2촌, 일측요통의 경우 대측 상인당 1촌 외방(찬죽 직상방 근처)에서 상인당쪽으로 2촌 횡자, 찬죽혈<눈썹 안쪽 끝 오목부>은 PSIS통증을 포함한 일측 골반통일 때 0.3mm정도 자침/사혈 가능, 교차 취혈, 급성의 경우는 침감 얻으면 즉시 발침, 만성의 경우는 30분-1시간 유침 가.)  진통-소염진통 활혈화어 신경조절
==요통/강직성척추염/좌골신경통-외상성 디스크 파열/천장관절염, 요근노선 골증상/협착, 원인불명의 요통
===요부의 급만성염증, ***좌골신경통과 디스크에는 요통혈+둔통혈+슬통혈 추가
@@ 요배통
**낙침배통 : 상지에서는 <중자>등+목, <중선/신관/비관>등+견 <양쪽> 한쪽은 중자, 다른쪽은 중선을 교자, 견배통에는  비관도 좋다. ==== 하지에서는 <승산 + 박구/정사><통배> <사마> <속골>
**허리 삐었을 때 :
<급성요통> 위중방혈 + 마금수 또는 이각명(3지 3절 배측2혈, 소지쪽으로 자침)
<만성요통>위중방혈/정근-정종(특히 정중선통엔위중/인중 방혈-곤륜+정근/정종)+ 완순12 + 중백/하백, 
<14경혈> :< 중앙부>인중<양측>후계<중앙+양측>후계+중저+속골+부류, 이외에 내관 강자극, 찬죽
**배요하퇴통 : 마쾌수 --중자/중선--통배**
**좌골신경통 = 영골/대백 + 비익, 인중/속골/풍시/완순1(후계) <요배통이 다리까지 올 때>+ 중백/하백 + 마금수/마쾌수
#3.급구혈(=비순구중격, 즉 인중/수구혈 최상단이  비주와 만나는 곳. 45도 상사자 0.3-0.5mm) 행흉개규, 성뇌개규, 소염진통, 회양구송, 항휴극, CNS조절
===모든 쇼크-정신 혼미/중서(더위먹음), 간질-심교통(협심증), 정신분열발작
===소아의 급만성 경기/역증(고열성), 전간-정신분열, 치창(치질)-고혈압-저혈압-관심병(관동맥질환), 중환자는 강자극 요함.
#4.편탄혈(중풍마비혈, 이첨직상방 1.5촌인 솔곡혈 부위, 다음의 3방향으로 즉, 전하방의 태양혈(가장 중요) 향해 2촌, 그외에 견통-슬통의 보조방법으로 침첨을 현리혈, 직하방의 각손혈, 후하방의 부백혈을 향해 1촌 정도 속자-속발, 염전 가능. 교차 취혈) 소염진통, 내장조절, 신경조절, 혈관확장-강압,강지, 거풍화담, 성뇌개규
===중풍마비/후유증, 안면경련-3차신경통
===편두통, 안면신경마비, 면기경련(안면근육 경련)
#4.위통혈(구각하방 0.5촌, 곧 승장혈에서 외측으로 1촌 부위로 입술아래 함요압통부로서 동씨침의 수금혈에 해당. 승장방향으로 2-2.5촌정도 평자, 제삽-유침가능, 소화기출혈-급성이선염시는 금침. 남좌여우) **복통/강지/담낭혈과 함께 쓰면 좋다. 구역질-멀미에는 내관-합곡-족삼-중완, 딸꾹질에는 간사혈(대릉 상3촌)>합곡-내관-신문-격유-수구-천돌, 맹장염 의심시는 족삼리2촌 하방 난미혈을 사용.  소염진통-궤양치유 촉진, 위장조절, 평형심리 건비양위 소간이기 활혈화어
===급만성위염/급성위경련/급성복증, 소화성궤양/소화불량증/격기경련
===멀미, 소아의 소화불량, 연발성 통경-당뇨병-제반 만성 병증의 보조혈
#5.비염혈(=관골중앙첨 아래 가장자리로서 가장 오목한 부위인 관료혈<마쾌수>, 교차 취혈 비첨방향로 평자 1-1.5촌) 소염진통 뉵혈지혈 항알레르기-비강충혈 항과민 신경조절
===비염/알레르기비염 ***인중-영향 마사지와 함께 한다.
===안면신경마비-안면근 경련-3차신경통, 하악관절염, 상기도감염
#6.아통혈(귀볼앞 0.5cm 부위로 치아통증조절혈인 협거혈 상방-청회혈<귓구멍 하단 오목부> 하방, 좌우교체 취혈 0.5촌 직자 상하제삽-염전 가능) 소염진통 항균-억균-지통, 개규거풍
===상하악의 모든 치통, 치주질환/아주염 **이하선염에는 속자-속발, 제삽-염전금지
===면기경련-안면신경 마비, 면탄(안면마비)후유증, 3차신경통, 중풍실어증, Drooling(유연증)
#7.명목혈(유양돌기-하악각 사이의 1/2지점인 하예풍혈, 교차 취혈, 반대측 눈동자를 향해 1촌 직자, 속자-속발. )
 소염진통 통규명목 혈관확장 시신경조절 ===안구건조/근시, 백내장/녹내장, 각막염/급만성결막염, 안구부종/아폴로눈병, 사시-청광안(녹내장),시력저하 및 제반 안구질환  **농아자는 1촌 하사자. ===하악관절증, 안면신경마비, 면탄후유증, 3차신경통, 신경성이롱, 이명 

***눈-귀를 동시에 맑게 하면서 뇌를 각성시키려면 승제혈-명목혈-각성/성뇌혈(풍지) + 승령(지창-이문선 후상부)/청궁-상관/뇌공혈(두규음 내측에 있음) + 눈주위혈을 자침/지압하면서 동시에 기경팔맥교회혈을 자침한다. ***야맹증에는 예풍-풍지선상의 중간점인 예풍후방1촌부위의 예명혈을 0.5-1촌 직자.
#8.각성/성뇌혈(예풍-풍부선의 1/2인 오목부, 또는 완골-풍부1/2처, SCM-승모근기시부사이 풍지혈에 해당, 띵하고 멍한 경우에, 비첨향해 0.5-0.8촌 자침, <후두하근 경련 해결을 위해서는 *침대밑으로 머리떨구기 10분, 또는 두개천골요법의 후두이완스트레칭-복식호흡법을 이용, 환추횡돌기에서 시작되어 C2sp에 붙는 양측 하두사근 TP를 풍지혈0.5촌하방에서 자침 처리하고 대후두직근-소후두직근-상두사근TP를 해결하기 위해 반대쪽 입꼬리 향해 풍지혈에서부터 하사자 0.5-1.5촌 자침하고서, 대측 풍지혈쪽으로 2-3촌 풍지-풍지 투자를 사용> , 양측 동시 또는 좌우교체 취혈, 침감즉시 발침, 태충/행간-광명-해계, 양노-비노, 뇌공-양백-어요-찬죽-사죽공-동자료-태양-정명과 함께 자침시 눈이 밝아짐. 눈병 치료시에는 반대측안와 쪽으로 향해 1-2촌 자침 ***정명-승읍-구후혈 외에 건명-상명-내정명-광상혈은 안와내40mmm까지 자침 가능. 이때 1.5촌 상방의 뇌공혈 자침을 더불어 하면 눈이 더 밝아진다.
===심리조절-신경조절-내장조절-진정양신-각성명목-항노화, 보건작용이 강하다.
===신경계-호흡계-소화기계-순환계질환-당뇨병, 갱년기질환-신경쇠약, 백혈병, 만성 간염-신염-기관지염등 모든 만성질환에 도움됨.

@@@2.상지부
#1.둔통혈(=소장경의 견정혈, 삼각근 후부의 중간위치로서 액횡문 선단과 견봉선의 중간수직선이 만나는 곳에 해당.  교차 취혈=반대측취혈, 액와중앙방향으로 2.5-3촌 자침, 체침 후 제삽) 활혈화어 울결해산 신경조절 치기통온
===좌골신경통/이상근 손상, 요추디스크-HNP-둔부연골손상 : 광범위한 요둔부 질환에 사용.
===편탄, 망구주(주관절장애)-경견종합증
#2.슬통혈(=대장경의 곡지혈, 대측=교차취혈. 손바닥을 하향한 채 주관절의 곡지혈(주름 끝 부위)에서 척택<투자하듯> 또는 소해 혈 향해 2.5-3촌 직자, 염전-제삽 불가.) 소염진통 면역력 증가 해열 항알레르기
===슬관절연골손상, RA/DJD/테니스엘보우, 망구주, 비장근경련
===신경성피부염, 알레르기성피부염 +신경/내분비 조절(침첨을 소해혈 방향으로 자침시)
@슬통의 동씨침(동기침)혈 : <건>내관/간사, 견중(견봉하2.5촌: 삼각근 융기부)/건중<환>태충
#3.치창혈(=통변혈, 손등을 위로 한 양경측 사용, 주관절-완횡문중앙 3등분시 주관절 쪽 1/3 지점, 삼초경 사독혈상1촌 부위 요척골 사이, 남좌여우 또는 좌우교체취혈, 3년 이상은 양쪽 취혈,  손목 향해 2촌 하사자 제삽, 단,염전불가)  소염진통 혈당조절-혈압강하 해독-해열 통변 내장조절 내분비 조절 심리부재
===내-외 치질/항문열상, 변비/설사, 통변불능-노인의 습관성변비,  ***지사혈: 내정/족삼리/양구(위경)지기(비경) << 곡택(심포)/위중(방광)
===늑간신경통, 대상포진, 흉부연골염, 중풍실어증
#4.흉통혈(손등을 위로 한 양경측 사용, 주관절-완관절중앙 3 등분시 완관절 쪽 1/3지점(4촌), 삼양락혈 부위, 2촌 45도 상사자, 제삽 교차 취혈 3년이상은 유침 가) 혈당-혈압-고지혈증 조절 관동맥/심율동 조절-격근 경련 신경-내분비 조절 소염진통 
===관심병-심교통, 심리불재/흉근외상, 늑간신경통/흉막염, 흉부연조직 손상, 혈당-혈압-고지혈증-관상동맥질환 조절  **심근경색회복기에는 45분간 유침.
===급성 요뉴상, 급만성위염 대상포진 및 후유증, 급기경련/담낭염
#5.폐병혈(*정중신경을 자극함. 손등을 아래로 한 음경측 사용, 주횡문중앙과 완횡문중앙을 일직선으로 3등분시 주횡문 쪽 1/3 지점, 극문혈 위 3촌부위, 남좌여우 또는 양측취혈 손목 향해 2촌 하사자 제삽. 단, 염전 불가) 윤폐이기 지혈-해열소염-항과민성 : SARS치료
===폐렴-기관지염-상기도염-각혈, 손가락경련(지련증)/말초신경염-과민성비염-해소-거담-뉵혈, 기흉통/흉막염-폐출혈
===각혈-토혈-뉵혈 등의 지혈구급혈
#6. 강당혈(손등을 아래로 한 음경측 사용, 주횡문중앙과 완횡문중앙을 일직선으로 3등분시 완횡문 쪽 1/3 지점. 극문하 1촌 또는 간사혈 위 1촌에 해당, 남좌여우 또는 좌우교체취혈, 2촌 45도 상사자 제삽, 침강도달시 발침 중증은 체침.) 전신무력, 건비화위, 소간이기, 소염진통진정, 대사교란질환, 통풍후유증. 익기안신 강당-강지-강압, 관동맥질환, 면역증강
===전신무력증, 당뇨병-고지혈증-만성간염-간경화, 위궤양-위염, 저혈압-고혈압, 관심병-신경쇠약
===당뇨병-DM합병증
#7.과통/실면혈(정신-심장-신경 안정/수면장애 조절혈, 대릉에 해당. 교차 취혈 또는 실면-남좌여우 또는 좌우교체취혈 또는 양측동시취혈, 0.2-0.3cm정도의 심도로 얕게 순간적 직자, 실면증은 양쪽 다 중지방향으로) 진정-안심-심박조절 소염진통 내장조절
===불면증/실면증<**동씨침 : 이첨사혈+풍시 자침 이에 더하여 전사관 즉, 간곡(합곡-삼간의 중간)+행간 을 배용하면 특효 ==>중사관 또는 사관 즉 합곡+태충==>후사관 즉 영골+화주, 그외에 인당+하삼황도 좋다.>, 족관절 연골손상-족근통-족저통, 족관절염증증후군, 심부정맥
===족관절종합증, 심리부재-심장동계
#8.인(후)통혈(=합곡혈의 제2중수골 중간 부위, 교차 또는 남좌여우, 만성의 경우는 좌우교체취혈, 1-1.5촌 직자 상하제삽, 만성환자는 합곡에서 후계방향으로 양쪽 투자.) 진정진통-면역증강 소염퇴열 ***합곡혈은 면역력을 크게  강화시킨다.
===급만성인후염, 급만성편도선염, 모든 상기도염
===단순갑상선종, 갑상선기능항진, 급성유선염-산후모유부족-아통, 고열, 면탄후유증(실어증-수지마목)배혈처, 안면신경마비
#9.경통혈(팔사혈 중 4지와 5지  본절 적육제 중간인 액문혈 위치, 동씨침의 차삼혈직상부에 해당, 교차 또는 남좌여우, 경부중앙통인 경우는 양측동시 또는 교체 취혈, 중저혈 방향으로 2촌 자침, 상하제삽 염전 가.) 소염진통퇴열 소근활혈 신경조절-근이완 인후소염작용 ***견갑주위염에 견배혈과 함께 반드시  선택한다. 더불어 면탄혈을 취하라.
===제반 경추질환, 낙침(기상후 경부강직/운동제한) 경견근막염, 경추 연조직 손상, 경추성 두통, 경추성현훈증
===늑간신경통, 광상신경통, 3차신경통, 좌골신경통, 견갑주위염/족저통, 모든감기-플루에 특효.
#10.감모혈(발열혈, 3지와 4지  본절 적육제 중간, 팔사혈중 3-4지 사이에 해당, 남좌여우, 좌우동시 또는 교체 취혈,  동씨침혈인 차백혈 향해 2촌 제삽 중증환자는 양측손목방향으로 침점이 오도록)소염억균 퇴열진정 해표산한 지통소염 항알레르기 면역증강  ***좌골신경통에 경통혈과 함께 반드시 포함시킨다.(동씨침 팔관3,4혈로 칭함..서혜주름부 통등 에 쓰는 기송 혈 대신 사용가.)
===감기/인플루엔자, 모든 상기도감염, 알레르기성비염 **팔사혈 중 4-5지 사이 가까운 적백육제부위를 동씨침에서는 모든 감모의 특효혈인 차삼혈(삼차삼)이라 하고, 3-4지사이는 삼차이, 2-3지사이는 삼차일이라 하는데, 보통 감기인 경우는 차삼혈만, 심할 때에는 차삼1,2,3혈을 모두 사용한다. ===비염-알레르기성비염, 두통/좌골신경통, 요기노손
#11.지마혈(후계혈, 동측취혈 때로 교체취혈, 합곡혈 방향으로 2촌 직자 또는 체침, 침감 도달시 발침) 성뇌개규 지마지통 소염진통 신경조절
===<성뇌작용이 있어서>중서-혼미, 경추신경이 원인인 손가락마비와 말단신경마비증
===신경쇠약/정신분열-혼미/휴극/낙침으로 인한 말초신경염, 당뇨병성말초신경염 치료<강당혈>의 보조혈. 급성요뉴상

@@@3.흉복부
#1. 통경혈(임맥의 전중혈 상방1촌(흉골병)에 위치, 정위취혈 0.2cm직자) 내분비 혼란 모든자궁질환 부과부건 비뇨기관련질환- 진통소염해열 온중산한 활혈어혈 억균 : 성호르몬-비뇨생식기계 이상시, 해열진통소염항균효과  ***월경전긴장증-월경증후군에 사용하나 대신 위통혈을 쓰기도 한다.
===원발성-계발성-긴장성 통경(월경 전 7-10일에 격일 치료3-4회가 가장 좋다 : 배를 따뜻하게 하면서 과통실면혈과 함께 사용, 중증시에는 삼음교-태계혈을 병용)
===음도염, 부과부건염, 비뇨기계감염  
#2. 면탄혈(안면마비혈) : 쇄골설골근이 붙은 쇄골상연내측1/3(결분혈) 에서  예풍혈방향으로 상방 2촌 올라간 지점(천정혈 부위, C2-3-4로 구성된 쇄골상신경이 나옴)으로 경추5번째횡돌기 전결절에 붙은 압통점이 있는 전사각근 부위,  내측에 SCM이 있다. 0.5촌 목쪽으로 하사자, 상하제삽-체침 가. 거풍통락 활혈화어 신경조절 소염지통 안면신경 수복 촉진=== 면탄-유돌이하선염은 교차취혈, 담낭염시 동측취혈. 결풍통락-활혈화어-조관신통-소화지통 ===안면신경마비/후유증,안면경련, 유행성이하선염, 담낭염에 사용, ***보통 임상에서는 면탄혈 대신 비염혈-명목혈-아통혈을 동시에 사용하여 안면마비를 치료할 수 있다. **건측에 찬죽-정명, 양백-어요, 영향-사백, 사백-지창, 인중-지창, 승장-지창, 지창-협거 투자 + 예풍/합곡/족삼리 심자, 하관/거료 전침하기도 한다. 이 때 예풍은 직자 40mm이내, 전하방 심자는 50mm정도-15분 정도 유침한다. 발에서는 좌은백-우대돈의 대량 사혈을 시행, 손에서는 연수점-소상(대장정금, 2지손톱하내측단)-소지손톱하외측단(E42/방광정금혈) 사혈해준다.
#3. 신쇠혈 : 신궐혈, 건비소식 익기건비 신경조절 대사촉진 면역증진 === 신경쇠약식물신경교란 갱년기종합증 당뇨병=만성간염-간역화 기관지염 과민-멀미... 양손의 2-3-4지를 모아서 순간적으로 지압하거나 손바닥을 겹쳐서 살며시 복식호흡에 따라 50회 이내로 지압한다.

@@@4.척배부
#1.좌창혈(독맥대추혈 C7-T1극돌기사이, 정위취혈 삼능침으로 사혈한다.) 음양조화 청혈해독 소염억균퇴열 대사/면역증강
===좌창(여드름), 지루성피부염-모낭염, 습진-담마진, 급성결막염-구강염-부비동염-편도염-임파선염-상기도염
===해열, 모낭염-임파선염-상기도염, 여드름-기미-색소침착, 급성결막염-구강염
#2.피로혈(담경 견정혈 위치의 후방직하부, 대추혈-견봉단연장선의 1/2, 양측 동시 취혈, 지압법도 좋다.) 신경조절내장조절 피로제거 성뇌개규 면역증강
===만성피로, 여행증후군, 갱년기증후군, 경견증후군, 신경쇠약, 식물신경 공능 혼란시 사용.
===모든 만성질환의 보조혈 ***특히 보건혈위인 성뇌혈-신쇠혈과 함께 사용
#3.유선혈(소장경의 천종혈, 극하근에 위치, 견봉선중앙점과 견갑하단을 이은 선의 상1/3지점에서 취혈, 동측 취혈=대응 취혈, 0.5촌 하향 직자 체침-염전.) 경락소통 활혈화어통유퇴열 신경조절
===급성유선염, 모유부족시
===흉부연조직 손상, 신경성피부염, 경부임파선결핵, 늑간신경통

@@@5.하지부
#1.견배통혈(미골 옆 2촌, 둔부 중앙 위치로 이상근 하연에 해당, 대전자 상방 오목부의 환조혈연장선상에서 취한다. S4극돌기로부터는 3촌부위가 질변혈위이다(내사자3촌-후음부, 내전사자3촌-전음부, 환조혈을 향해 외사자3촌 또는 하사자3촌-하지부, 내하사자3촌-비뇨생식기부위질환 치료)또는 환조혈 내측1촌부위를 쓰기도 함. 때로 둔부중앙에서 1cm 간격으로 환조혈까지 직자 5방하기도 함. 교차 취혈 2.5-3촌 직자-상하제삽 침감 도달시 발침) 소염지통 신경조절 풍습제거 경락소통 성뇌개규 정신진정 ***목-등 부위 병변에 특효하지만 임상에서는 견통혈-경통혈-면탄혈로 대치하기도 한다.
===경견기근막염, 견관절주위염
===정신분열/억증성혼궐-전간-편탄, 좌골신경통-이상근증후군-비골근 경련
#2.이명...
이명 = 이롱 혈<풍시 전1촌 또는 풍시 상 1.5촌>+신병 혈<삼음교 상 1.4촌에서 하사자45도, 2촌 정도 자입...#사지 혈을 통증에 사용시는 모두 뼈에 바짝 붙여서 신관은 하사자, 사지는 상사자였음>...이롱혈( 대퇴골두-외측슬관절선의 1/2인 담경 풍시혈 내측1촌 부위, 때로 풍시 상방1.5촌 위치를 쓴다, 골막에 닿도록 직자 또는 상방 사자, 교차 취혈 2-2.5촌 제삽 (일선삼침법-직자, 상자,하자) 3회까지 시행, 무릎까지 침감도달시 발침) 내이평형조절 총이개규 기혈조절/요슬강화  ====>수구+승장 조합에 상풍시+하예풍+신병혈로 현훈증 치료!!!  신허성일 때 특효

===삼출성중이염-외이염 시에는 특효(체침 가), 내이 평형조절=현훈증 치료, 신경성/폭진성 이롱-이명증
===급성 담마진-단독, 메니에르증후군, 외측대퇴피신경염 

***기혈이 왕성해지면서 허리-무릎이 안정됨.
#3.과민혈(슬굴곡시 슬개골 내측상연 2촌 부위의 내측광근융기부로 혈해혈 하 1촌에 해당. 보통 임상에서는 <안구건조에도 사용하는>동씨침혈인 명황혈, 즉 슬개골 내측상연-서혜부방향 수직연장선상1/2지점(박근중앙부외측-봉공근외측사이 압통부위)을 취한다. 좌우교체취혈, 2촌 직자 상하제삽-염전 불가,) 억균소염 정신진정 내분비조절 건비화위  ***통경혈/과통실면혈/위통혈과 함께 쓰면 잘 들음
===기관지염-효천, 급성담마진-풍진, 피부소양증-신경성피부염
===월경부조-폐경증상, 기능성자궁출혈/자궁경부염, 만성신염-비뇨기감염, 각종과민성질환
@@@폐경기증후군( : 안면홍조-다한-실면) -- 수승화강의 문제가 있다. 사관혈(합곡+태충 또는 간곡+화주) +족삼리 또는 사마외 /내관/삼음교(+ 신관) 또는 하삼황, 동측 후계/대측 신맥 다음날은 후계/신맥 반대로 사용.
#4.주통혈(슬개골 내-외슬안부위, 교차 취혈 2-2.5촌 반드시 2촌이상 자침, 제삽/염전 금지, 침감 오면 즉시 발침)
 소연지통 활혈화어 경락소통 이기지통 ===주관절 연조직 손상, 굉골외상과염 (=테니스 엘보우:내측 슬안을 취함)/굉골내상과염(=골프엘보우 : 외측슬안을 취함), 원인불명의 주관절통  ***임상에서는 상지의 둔통혈도 주관절병변에 사용가능함
===편탄후기능장애, 담마진, 족관절외상성출혈
#5.복통/강지혈(=담낭혈, 양릉천(*비골소두와 경골외측부가 만나는 관절 하부의 함요처, 비골소두의 하연-상연 교차 지점) 하방 1촌, 비골소두직하 전하방함요처, 동씨침혈의 측삼리에 해당, 통점이 명확하면 교차취혈 불명확하면 남좌여우 중증시는 양쪽 취혈 1.5-2촌 직자 제삽, 즉시 발침. 중증시 염전-체침 가) 지통소염 내장조절 연동운동증가 소간-이담 강압-강당-강지, 건비화위 항노화 면역증강 경락통활이기 ***위통혈/견통혈과 함께 급성복증에 사용. 맹장염 의심시에는 족삼리2촌 하방 난미혈을 사용. ===모든 급성위염-위경련(연동운동항진, 이담, 항노화 촉발), 급성장염-급성담낭염-급성맹장염-급성이선염 ===관심병-심교통, 전립선염, 고지혈증-고혈압-당뇨병-허혈성심질환-늑간신경통, 간경화-급만성간염, 과민성천식-두드러기/태선
#6.견통혈/중평혈(=중국평형침혈, 족삼리에서 외1촌, 하1.5촌 부위 또는 비골소두-외과첨 선상 상1/3 지점. 교차 취혈, 2촌 직자 상하제삽, 족관절쪽으로 침감 도달시 발침) 지통소염 강압 성뇌 신경조절-혈관확장 내장-위장-내분비조절 ***** 비골 소두-외과첨선 상1/3은 견통혈(동씨침의 측하삼리 하1촌 부위), 하1/3은 신통혈 지점. 외슬안-외과첨선 1/2은 전간혈.
===견관절 연조직 손상, 견주위염, 근형경추병, 낙침-의증
===편두통-급성요뉴상, 관심병-심교통-정신분열/억증성 혼궐-중서/쇼크-혼미-전간-상지편탄, 신경성 이롱-이명, 고혈압-담낭염-담석증-담도회충증 등 급성복증, 대상포진-늑간신경통
@오십견의 동씨침(동기침)혈 : <건>음릉천(천황)하 1.5촌 부위인 신관(=하삼황의 천황부)
#7.전간혈(외슬안-외과첨 선상 1/2 지점, 조구혈위에 해당, 좌우교체 취혈 2촌 직자 상하제삽) 성뇌개규 신경-정신 조절
===전간(경기) ***신경-정신계통  조절혈로서 성뇌혈-흉통혈과 배합.
===억증성 혼미-정신분열, 정신쇠약, 급만성위염-소화성궤양, 멀미, 월경통, 견주위염
#8.신병혈(담경의 양보혈 1촌 상방<2중혈> 위치, 비골소두-외과첨 (15촌)선상 하1/3 지점, 교차 취혈, 삼음교쪽으로 2촌 직자 상하제삽. 체침 가.때로 신허이명이 동반되는 경우엔 상풍시와 함께 삼음교 상1.3촌 지점을 신병혈로 삼아 발목쪽으로 2촌이상 사자하기도 함.) 정신 진정-신경조절 내장/내분비 조절 소염퇴열 보신장양 자음양강 익기건비 ***삼음교상1.3촌지점(내슬안-내과첨선 하1/3 지점)은 양위증에 특효임. 동씨침의 사지혈(사지동통에 사용)과 근접.
===만성신장염-급만성신우신염-요도염-방광염, 고환염-양위증, 폐색성동맥염
===불면증, 월경부조-적백대하, 조설-산기-혈전, 당뇨병-담마진 ***오장육부의 어혈과 관련된 경골내측부의 압통-경결 부위 : 상1/3은 상초부(좌심-우폐 질환), 1/2은 중초부(위-좌췌-대장-우간담 질환), 하1/3은 하초부(비뇨생식기-신경 질환)
#9.완통/안병혈(외과첨 전하방 담경의 구허혈, 교차 취혈 중봉혈을 향해 0.5-1촌 횡자, 염전-제삽 불가. 때로 태계혈을 대신 쓰기도 함) 소염퇴열 진통진정 시신경조절 경락소통 청간명목 자신장양
===완관절의 건초염, 연조직 손상, 뉴상에 사용
===근시(가성)-화안-청광안-안구건조/이물감, 혼탁형백내장-급성결막염-전광성안염, 안검하수-안기경련
#10.두통혈(간경의 행간-태충혈의 중간부, 교차 취혈 또는 전체형/완고성/전정후두통은 양측동시 취혈 가능, 1-1.5촌 직자 상하제삽,염전 가) 지통소염 경련제거 강압 담도괄약근경련해지, 활혈화어 소간이기 건비화위 성뇌개규  ***생리와 관계된 두통은 통경혈과 두통혈을 함께 사용
===신경성두통, 편두통, 결혈성 두통, 고-저혈압성 두통, 원인불명의 두통, 건망증
===수지진전, 혈소판 감소, 급성간염, 시신경손약, 담낭염
#11.강압혈(내과첨직하 1촌 또는 2cm 아래 위치한 조해혈에서 하1.5촌부위의 족궁첨부, 때로 용천혈도 사용. 좌우교체 취혈, 50세 미만은 좌-우 순으로 교체 치료, 50세 이상은 양측 치료, 발바닥 향해 1촌 하사자 염전 가) 신경조절 강압 지통 흥분/진정 조절
===고혈압 급성발작 : ***20-30분 유침
===통풍-쇼크, 혼미-고열, 구급혈, 신경성두통, 편탄 발작
#12.정신분열혈(승산혈. 또는 그 상방 1촌 위치, 교체 취혈 또는 동시 취혈, 상하제삽 체침가) 성뇌개규 신경조절 지통소염 항쇼크, 혈압조절 서근활락활혈화어 청열해독
===각성, 신경조절, 소염진통, 혈압강하작용
===정신분열, 의증, 전간-혼미-중서, 급성요뉴-요근피로-비복근경련-과관절조직손상, 치창, 편탄. ***이외에 이산혈(난산치료혈)로 지음혈, 과민-강압-복통혈로 양릉천혈을 쓰기도 함

<구급혈>

1. 內關穴(내관혈) : 각종 급성질환, 쇼크, 부정맥, 어지러움증(차나 비행기 탔을 때), 구역질, 구토, 딸꾹질, 급성
2. 인중혈 : 쇼크, 혼미상태, 정신병, 간질병, 중서(여름에 더워서 실신한 것), 호흡쇠약(호흡곤란) →기공사는 주로 지압
3. 湧泉穴(용천혈) : 쇼크, 중서, 히스테리, 고혈압, 뇌일혈, 소아경풍, 간질
4. 至陰穴(지음혈) : 난산으로 출산이 어려울 때(催産최산), 태위부정, 두경동통, 비색(코막힘) 특히 산부인과에서 많이 사용
5. 至陽穴(지양혈)  :  견갑골하단선 근처 T7-8극돌기 사이. 각종 동통(→진통효과), 천식, 흉배통, 황달, 기침
6. 少商穴(소상혈)  : 호흡기 계통의 감염, 감기, 발열, 고열, 인후중통, 급체, 혼미 ☯ 급체 ⇒ ① 소상혈(주혈) 급히 사혈  ② 족삼리(배혈***외슬안하방4횡지/3촌부위.)   ③내관혈
7. 中平穴/肩痛穴(중평혈/견통혈) → 위치 : 족삼리에서 아래로 한치, 뒤로 한치 *효능 : 어깨 견통, 각종 동통(골상과에서 많이 사용) ⇒ 손으로 지압 or 침(침 하나만 놓는다) 
8. 風池穴(풍지혈)  : 발 뒤꿈치 아플 때 특수한 작용, 눈 옆이 아파 눈을 못 뜰때
9. 耳尖穴 : 고혈압, 중풍, 뇌일혈 ⇒ 귀 맨 꼭대기를 접어서 피를 빼준다(급속히 피를 빼준다)
10. 合谷(합곡) : 고열이 날 때 ⇒ 소상혈 사혈 & 합곡 지압 & 침

##평형침법이론 http://blog.daum.net/_blog/BlogView.doblogid=07mt6&articleno=15866568#ajax_history_0  needle(26G 60mm)http://www.medius24.com/goods_detail.phpgoodsIdx=269


###눈 주위 경혈들
▲효과 및 마사지 방법
=얼굴은 전신의 기운이 한 곳에 모이는 부위답게 혈자리도 풍부하다. 안면에만 수십개의 혈자리가 존재한다. 특히 눈 주위에는 각종 경락이 시작되는 첫번째 경혈들이 많아 강한 자극을 전달할 수 있다. 또 눈 주위 혈자리들은 대부분 안구를 지배하는 시신경이나 혈관들이 안구속으로 들어가기 위해, 안와를 구성하는 뼈에 생긴 작은 구멍과 대부분 일치한다.
침은 물론이고 엄지나 검지를 이용한 마사지로도 시신경을 자극할 수 있다. 시력피로가 심할 때 5~10분에 걸쳐 매일 마사지하면 안구운동이나 눈물샘 자극을 통해 눈의 피로를 풀 수 있다. 단, 손톱이나 날카로운 것으로 마사지하거나 안구를 직접 누르는 것은 피해야한다.
▲위치
***승읍(承泣)은 족양명위경(足陽明胃經)이 처음 시작되는 혈자리로 눈물샘을 자극해 눈물이 흘러내리게 만든다는 뜻을 지니고 있다. 정면을 주시했을 때 눈동자 중앙선과 안와가 마주치는 부위다. 해부학적으로는 안구를 움직이는 안륜근과 안와하 신경·동맥 등이 분포돼 있다. 승읍과 동자료 사이에 안와변연을 따라 구후혈이 있다.
***사백(四白)은 사방을 희고 밝게 만든다는 뜻을 지닌 혈자리로, 눈동자에서 1촌 정도 내려간 곳이다. 승읍혈에서 조금씩 밑으로 짚어가다보면 유독 시린감과 약간 오목하게 들어간 듯한 느낌을 받는 곳이다. 역시 시력과 관련된 각종 신경과 동·정맥이 분포돼 있다. 안과질환뿐만 아니라 비염이나 삼차신경통 등에도 자주 활용된다.
***동자료는 눈꼬리 바깥쪽으로 살짝 벗어난 안와부위에 해당한다.
***태양(太陽)은 눈썹의 끝에 위치한 ‘사죽공’과 눈꼬리에 위치한 ‘동자료’를 이어 바깥쪽으로 정삼각형으로 만들었을 때 나머지 꼭지점에 해당한다. 씹는 동작할 때 움직임이 있는 측두근 상에 있고 흔히 편두통이 심할 때 자연스럽게 손으로 누르게 되는 압통이 있는 부위다.
***정명(睛明)은 족태양방광경(足太陽膀胱經)이 처음 시작되는 혈자리로 눈안쪽에서 코뼈 중앙선쪽으로 살짝 들어간 안와부위다. 삼차신경 등 안구운동을 담당하는 주요 신경과 혈관들이 지나간다.
***찬죽(광명)은 정명에서 수직으로 올라가 눈썹과 마주치는 부위다. 삼차신경과 안면신경 등이 분포돼 있다.
***사죽공(絲竹空)은 동자료에서 위로 올라가 눈썹의 바깥쪽 끝나는 부위에 오목하게 들어간 곳에 위치한다. 안구속으로 들어가는 눈물샘신경 등이 분포돼 강한 자극을 느낄 수 있는 혈자리다.
***눈썹 한가운데 새롭게 발굴된 어요(魚腰)도 눈의 피로를 푸는 데 좋다. 눈동자의 중심선상과 눈썹이 마주치는 곳에 위치한다.
***눈썹에서 1촌(손가락 한마디) 정도 더 올라가 오목하게 들어간 곳의 양백(陽白)도 안구의 상부를 지배하는 각종 신경과 동·정맥들이 안구속으로 들어가는 곳이다.

<경혈의 혈성분류>

침구수혈은 경혈(經穴=14經 361穴), 경외기혈(經外奇穴), 아시혈<阿是穴=천응혈(天應穴), 압통점(壓痛点)>의 3종류로 나눈다.
여기서는 수혈중 경혈을 혈성에 따라 23가지로 분류 게재하여 침구연구는 물론 임상에 응용하도록 하였다.
이 내용은 중국과학기술문헌출판사발행 “경혈치병명리(經穴治病明理)”를 참고하였음.

1. 보익류(補益類)

⑴ 보기혈(補氣穴) : 기해(氣海), 기해유(氣海兪), 중완(中脘), 관원(關元), 족삼리(足三里), 삼음교(三陰交).
⑵ 보혈혈(補血穴) : 비유(脾兪), 격유(膈兪), 장문(章門), 삼음교(三陰交), 음릉천(陰陵泉), 족삼리(足三里).
⑶ 생진지갈혈(生津止渴穴) : 액문(液門),조해(照海), 삼음교(三陰交), 연곡(然谷), 태계(太溪)
⑷ 장양혈(壯陽穴) : 명문(命門), 신유(腎兪), 관원(關元), 기해(氣海), 관원유(關元兪), 신궐(神闕), 중극(中極).

2. 온통류(溫通類)

⑴ 온중회양혈(溫中回陽穴) : 기해(氣海), 관원(關元), 신궐(神闕) - 구(灸), 족삼리(足三里), 내관(內關), 백회(百會) - 침(鍼).
⑵ 통맥혈(通脈穴) : 태연(太淵), 내관(內關), 신문(神門), 심유(心兪), 궐음유(厥陰兪), 격유(膈兪), 혈해(血海), 삼음교(三陰交), 족삼리(足三里).
⑶ 통경혈(通經穴) : 천추(天樞), 수도(水道), 귀래(歸來), 혈해(血海), 수천(水泉), 지기(地機), 태충(太衝).
⑷ 통유혈(通乳穴) : 유근(乳根), 전중(膻中), 소택(少澤), 족삼리(足三里).
⑸ 통편혈(通便穴) : 천추(天樞), 대장유(大腸兪), 족삼리(足三里), 풍륭(豊隆), 지구(支溝), 양릉천(陽陵泉),조해(照海), 대돈(大敦), 내정(內庭).

3. 거담(祛痰), 지해(止咳), 평천류(平喘類)

⑴ 거담혈(祛痰穴) : 풍륭(豊隆), 중완(中脘), 내관(內關), 거궐(巨闕), 비유(脾兪), 열결(列缺), 폐유(肺兪), 상완(上脘), 천돌(天突).
⑵ 지해혈(止咳穴) : 열결(列缺), 태연(太淵), 척택(尺澤), 폐유(肺兪), 천돌(天突).
⑶ 평천혈(平喘穴) : 열결(列缺), 전중(膻中), 폐유(肺兪), 선기(璇璣), 기해(氣海), 고황(膏肓)

4. 소도류(消導類)

⑴ 소식혈(消食穴) : 족삼리(足三里), 공손(公孫), 비유(脾兪), 선기(璇璣), 중추(中樞), 천추(天樞), 합곡(合谷).
⑵ 소산혈(消散穴)
① 산나력(散瘰癧) : 천장(天井), 소해(少海), 비노(臂臑),오리(五里), 건리(建里).
② 산유아(散乳蛾) : 합곡(合谷), 소상(少商), 조해(照海), 열결(列缺). ■ 유아(乳蛾) : 편도선염(扁桃腺炎).

5. 이기류(理氣類) : 전중(膻中), 내관(內關), 기해(氣海), 태충(太衝), 대릉(大陵), 행간(行間).

6. 이혈류(理血類)

⑴ 지혈혈(止血穴)
① 지비뉵(止鼻衄) : 상성(上星), 격유(膈兪), 척택(尺澤), 화료(禾髎).
② 지해수타혈(止咳嗽唾血) : 승산(承山), 공최(孔最), 격유(膈兪).
③ 지장풍하혈(止腸風下血) : 장강(長强), 승산(承山).
④ 지경루(止經漏) : 교신(交信), 합양(合陽), 충문(衝門), 기충(氣衝).
⑵ 산어혈(散瘀穴)
① 급성요뉴상(急性腰扭傷) : 수구(水溝), 위중(委中).
② 흉중어혈(胸中瘀血) : 족삼리(足三里)
③ 협륵뉴상(脇肋扭傷) : 대포(大包), 양릉천(陽陵泉).
④ 완관절뉴상(腕關節扭傷) : 양지(陽池), 대릉(大陵).
⑤ 견비뉴상(肩臂扭傷) : 견정(肩井), 곡지(曲池).
⑥ 과관절뉴상(踝關節扭傷) : 구허(丘墟), 곤륜(崑崙).
⑦ 슬관절뉴상(膝關節扭傷) : 독비(犢鼻), 양릉천(陽陵泉).

7. 이뇨퇴황류(利尿退黃類)

⑴ 이뇨혈(利尿穴) : 중추(中樞), 방광유(膀胱兪), 삼초유(三焦兪), 음릉천(陰陵泉), 삼음교(三陰交), 관원(關元), 신유(腎兪), 수분(水分), 기해(氣海), 열결(列缺), 태단(兌端).
⑵ 퇴황혈(退黃穴) : 지양(至陽), 완골(腕骨), 양강(陽綱), 담유(膽兪), 일월(日月), 양릉천(陽陵泉), 후계(後溪), 음릉천(陰陵泉), 비유(脾兪), 노궁(勞宮),용천(涌泉), 중완(中脘), 삼음교(三陰交).

8. 수삽류(收澀類)

⑴ 지구혈(止嘔穴) : 내관(內關), 족삼리(足三里) 천추(天樞), 중완(中脘), 공손(公孫), 전중(膻中), 노궁(勞宮), 삼음교(三陰交).
⑵ 지사혈(止瀉穴) : 천추(天樞), 대장유(大腸兪), 족삼리(足三里), 대횡(大橫), 곡택(曲澤), 위중(委中), 내정(內庭), 척택(尺澤).
⑶ 지한혈(止汗穴) : 음극(陰極), 후계(後溪), 합곡(合谷), 복류(復溜).
⑷ 지유혈(止遺穴) : 관원(關元), 삼음교(三陰交), 중극(中極), 지실(志室).

9. 청열해독류(淸熱解毒類)

⑴ 청열혈(淸熱穴) : 대추(大椎), 곡지(曲池), 합곡(合谷), 도도(陶道), 함곡(陷谷), 내정(內庭), 혈해(血海), 비유(脾兪), 노궁(勞宮), 소상(少商), 상양(商陽), 중충(中衝), 소부(少府), 소충(少衝), 어제(魚際), 이간(二間), 전곡(前谷), 액문(液門), 해계(解溪), 행간(行間), 대도(大都), 연곡(然谷), 협계(俠溪), 족통곡(足通谷).
⑵ 해독혈(解毒穴) : 영태(灵台), 합곡(合谷), 위중(委中).

10. 거풍산한류(祛風散寒類)

⑴ 거풍혈(祛風穴) : 풍지(風池), 풍부(風府), 백회(百會), 풍문(風門), 곡지(曲池), 곤륜(崑崙).
⑵ 산한혈(散寒穴) : 신궐(神闕), 중극(中極), 명문(命門), 중완(中脘), 온류(溫溜), 지기(地機), 음릉천(陰陵泉), 기해(氣海), 관원(關元), 장문(章門), 은백(隱白), 열결(列缺), 전중(膻中).

11. 서근진경류(舒筋鎭痙類)

⑴ 서근혈(舒筋穴)
① 상지(上肢) : 견우(肩髃), 곡지(曲池), 합곡(合谷), 양릉천(陽陵泉), 근축(筋縮).
② 하지(下肢) : 환도(環跳), 양릉천(陽陵泉), 절골(絶骨), 근축(筋縮).
⑵ 진경혈(鎭痙穴) : 백회(百會), 대추(大椎), 후계(後溪), 곡지(曲池), 양릉천(陽陵泉), 승산(承山), 태충(太衝), 곤륜(崑崙), 근축(筋縮), 수구(水溝), 합곡(合谷), 찬죽(攢竹), 풍부(風府).

12. 진정안신류(鎭靜安神類)

⑴ 진정혈(鎭靜穴) : 백회(百會), 간사(間使), 후계(後溪), 풍륭(豊隆), 용천(涌泉), 태충(太衝), 신정(神庭).
⑵ 안신혈(安神穴) : 백회(百會), 신문(神門), 내관(內關), 심유(心兪), 삼음교(三陰交), 태계(太溪).
⑶ 성뇌혈(醒腦穴) : 수구(水溝), 백회(百會), 십이정혈(十二井穴), 노궁(勞宮), 용천(涌泉).

13. 항학류(抗瘧類) : 대추(大椎), 도도(陶道), 지양(至陽), 간사(間使), 후계(後溪), 간유(肝兪), 담유(膽兪), 복류(復溜), 합곡(合谷), 족삼리(足三里).

14. 항노류(抗癆類) : 중부(中府), 폐유(肺兪), 고황(膏肓), 백호(魄戶), 족삼리(足三里), 대추(大椎). ■ 노(癆) : 폐로(肺癆=폐질환)

15. 승양익기류(升陽益氣類) : 회음(會陰) - 침(鍼), 기해(氣海), 백회(百會) - 구(灸)

16. 개규발음류(開竅發音類) : 아문(啞門), 염천(廉泉), 협차(頰車), 통리(通里), 천돌(天突).

17. 지통류(止痛類)

⑴ 두통(頭痛) : 태양(太陽), 풍지(風池), 인당(印堂), 열결(列缺), 두유(頭維), 찬죽(攢竹), 솔곡(率谷).
⑵ 아통(牙痛), 협차(頰車), 합곡(合谷), 내정(內庭), 하관(下關), 승장(承漿), 태계(太溪), 척택(尺澤).
⑶ 후통(喉痛) : 소상(少商), 상양(商陽), 합곡(合谷), 천돌(天突), 조해(照海).
⑷ 항통(項痛) : 열결(列缺), 후계(後溪), 천주(天柱), 대추(大椎), 곤륜(崑崙), 풍지(風池), 대저(大杼)
⑸ 흉통(胸痛) : 내관(內關), 극문(郄門), 전중(膻中), 풍륭(豊隆).
⑹ 심교통(心絞痛) : 대릉(大陵), 내관(內關), 신문(神門), 극문(郄門), 심유(心兪), 거궐(巨闕), 지양(至陽).
⑺ 위통(胃痛) : 중완(中脘), 내관(內關), 족삼리(足三里), 내정(內庭), 공손(公孫).
⑻ 복통(腹痛) : 중완(中脘), 기해(氣海), 족삼리(足三里), 삼음교(三陰交), 천추(天樞).
⑼ 협늑통(脇肋痛) : 지구(支溝), 기문(期門), 일월(日月), 태충(太衝), 양릉천(陽陵泉), 구허(丘墟), 장문(章門), 대포(大包).
⑽ 요배통(腰背痛) : 후계(後溪), 격유(膈兪), 명문(命門), 신유(腎兪), 위중(委中), 곤륜(崑崙), 대추(大椎), 간유(肝兪), 은문(殷門).
⑾ 요고통(腰尻痛) : 차료(次髎), 질변(秩邊), 승부(承扶).
⑿ 수배통(手背痛) : 합곡(合谷), 후계(後溪).
⒀ 주관절통(肘關節痛) : 곡지(曲池), 수삼리(手三里), 천장(天井),소해(少海), 양계(陽溪), 양로(養老), 외관(外關).
⒁ 완관절통(腕關節痛) : 양계(陽溪), 양지(陽池), 양곡(陽谷).
⒂ 견관절통(肩關節痛) : 견우(肩髃), 견료(肩髎), 노유(臑兪), 거골(巨骨), 견정(肩貞), 조구(條口).
(16) 관관절통(髖關節痛) : 환도(環跳), 승부(承扶), 질변(秩邊), 거료(居髎), 은문(殷門).
(17) 슬관절통(膝關節痛) : 독비(犢鼻), 양릉천(陽陵泉), 질변(秩邊), 승산(承山), 족삼리(足三里).
(18) 하지위비통(下肢痿痹痛) : 비관(髀關), 복토(伏兎), 족삼리(足三里), 절골(絶骨), 양릉천(陽陵泉).
(19) 과관절통(踝關節痛) : 해계(解溪), 곤륜(崑崙), 상구(商丘), 구허(丘墟).
(20) 족지종통(足趾腫痛) : 태충(太衝), 족임읍(足臨泣).
(21) 통경(痛經) : 기해(氣海), 삼음교(三陰交).

18. 최토류(催吐類) : 내관(內關), 중완(中脘).

19. 발한류(發汗類) : 합곡(合谷), 복류(復溜), 대저(大杼), 대도(大都), 경거(經渠).

20. 최산류(催産類) : 합곡(合谷), 삼음교(三陰交), 지음(至陰), 곤륜(崑崙), 견정(肩井).

21. 소염류(消炎類)

⑴ 편도체염(扁桃体炎) : 소상(少商), 합곡(合谷), 천돌(天突).
⑵ 급성중이염(急性中耳炎) : 이문(耳門), 청회(聽會), 청궁(聽宮), 예풍(翳風), 중저(中渚), 외관(外關), 양릉천(陽陵泉), 구허(丘墟).
⑶ 풍습성관절염(風濕性關節炎) : 견우(肩髃), 곡지(曲池), 합곡(合谷), 환도(環跳), 양릉천(陽陵泉), 절골(絶骨), 풍시(風市), 족삼리(足三里), 독비(犢鼻), 신유(腎兪), 요양관(腰陽關).
⑷ 급성단순성난미염(急性單純性闌尾炎) : 상거허(上巨虛), 족삼리(足三里), 천추(天樞), 곡지(曲池).

22. 승혈압류(升血壓類) : 내관(內關), 소료(素髎).

23. 강혈압류(降血壓類) : 조해(照海), 족삼리(足三里), 곡지(曲池), 소해(少海), 태충(太衝), 용천(涌泉).

@@@성뇌개규침법의 처방
---성뇌개규침법 효과의 주요 원인 중의 하나가 바로 엄격한 처방원칙과 조작면에서 가지고 있는 특수한 규정이다. 임상에서 주로 사용하고 주요 처방전은 다음과 같다.
##중풍7혈 : 원래 양경 위주의 취혈이다. == ‘백회’(독맥), ‘곡빈’(담경, 이전발제), ‘견정’(담경), ‘곡지’(대장경), ‘풍시’(담경), ‘족삼리’(위경), ‘현종’(담경)
---나름대로 자신들이 중요하게 여기는 혈자리를 추가해서 중풍11혈, 중풍12혈 등의 혈자리에 침을 놓거나 뜸을 뜨기도 함.
----중풍으로 말을 못하는 <실음불어(失音不語)> 즉 언어장애일 경우는 ‘아문’, ‘인중(人中)’, ‘천돌(天突)’, ‘용천(湧天)’, ‘ 신문(神門)’, ‘지구(支溝)’, ‘풍부(風府)’ 등의 침 자리에 침을 놓고 뜸을 뜨면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중풍으로 의식이 없으며 입이 다물어져 벌려지지 않을 경우에는 ‘협거(頰車)‘, ’인중(人中)‘, ’합곡(合谷‘), ’열결(列缺)‘혈을 다스린다.
----담음이 있을 때 중풍7혈에 유형의 담음이든 무형의 담음이든 모두 ‘기해(氣海)’, ‘관원(關元)’, ‘족삼리’, ‘용천’ 등을 추가한다.
*****1. 유형의 담음  : 보거나 만질 수도 있고, 그 소리도 들을 수 있는 실질성의 ‘담탁(淡濁)’과 ‘음액(飮液)’을 말합니다. 기침으로 배출된 담탁과 천식의 담명(痰鳴) 등은 모두 호흡기도에서 분비되는 담액이다. 그러니 이 경우는 <폐경락>도 같이 다스려야 한다.
*****2. 무형의 담음 : 담음으로 일어나는 특수한 질병이나 증상으로서, 두목현훈(頭目眩暈:머리와 눈이 어지러움), 오심구토(惡心嘔吐), 심계기단(心悸氣短), 신혼(神昏:정신이 혼미함) 및 전광(癲狂:정신착란의 질병) 등과 같은 담음이 항상 나타나는 증상만 있고 그 형태를 볼 수 없는 증상을 말한다.

<처방1>
A.대성뇌개규 치료혈
*1.양측 내관(PC6) *2.인중(Du26) *3.환측삼음교(SP6) *4. 副穴 : 환측의 극천(HT1) 환지의 척택(Lu5) 환지의 위중(BL54)
=== 配穴 : 합병증에 따라 그 배합하는 혈자리가 다르다. 예를 들어 삼키는 기능에 장애가 있을 때는 양측의 풍지(GB20), 양측의 예풍(TE17), 양측의 완골(GB12), 눈앞이 아찔하고 어지러울 때는 양측의 천주등을 배합한다.
B. 조작
**主穴:
==1.먼저 양측의 內關을 0.5~1.0寸 直刺하여 提揷捻轉를 이용한 瀉法을 1분 정도 행한다.(=양쪽내관을 자침 1촌정도한후 침봉을 손가락으로 바깥쪽으로 튕기 듯 돌립니다..<심장기능강화로 혈액을 뇌쪽으로 공급) >
==2.이어서 人中穴에서 비중격 방향을 향하여 0.3~0.5寸 정도 斜刺하여 雀啄手法(瀉法)(=자침 상태에서 부리로 쪼듯이 360도 회전시킴)을 사용하여 눈물이 나오거나 눈에 눈물이 고일 정도까지 한다.
==3.계속하여 三陰交에서 경골 내측을 따라 피부와 45도 각도로 0.5~1.0寸 정도 斜刺하여 提揷補法으로 침감이 발가락 끝까지 전달되게 하며, 患肢에 3번 수축운동이 일어날 때까지 한다.
**副穴:
==1.극천혈 : 본래 혈자리보다 2寸 아래의 心經 상에서 취혈한다. 시술자는 손으로 환지의 팔꿈치를 잡고 바깥쪽으로 벌려 0.5~0.8寸 直刺 한 후 提揷瀉法을 사용하여 환자의 손에 針感과 함께 수축운동이 3번 일어나도록 한다.
==2. 척택혈 : 팔꿈치를 내각이 120도 되게 한 후 시술자는 환지의 팔목관절을 잡고 0.5~0.8寸 直刺한 후 提揷瀉法을 사용하여 침감이 팔꿈치관절에서 손가락으로 전달되거나 혹은 손이 움직여 바깥으로 3번 돌아갈 때까지 한다.
==3.위중혈 : 환자를 바로 눕게 한 후 患肢를 들어 올려 취혈한다. 시술자는 왼손으로 患肢의 발목관절을 잡고 팔꿈치로 患肢의 무릎관절을 받쳐든 후 시침하여 침 끝의 방향이 바깥쪽 15도를 향하게 하여 1.0~1.5寸 찔러 提揷瀉法을 취하여 하지에 수축운동이 3번까지 생기게 한다.
C. 方義
==1.내관혈 :  八脈交會穴 중의 하나로 陰維脈과 통하고 闕陰小包經의 絡穴에 속한다. 養心安神, 疏通氣血의 효능이 있다.
==2.인중혈 :  督脈, 手足陰陽의 교차혈로 督脈은 胞宮(자궁)에서 시작 상행하여 뇌로 들어가 정수리를 통과한다. 따라서 人中을 사(瀉)하여 督脈을 조절하고 開竅啓閉, 建腦寧神 하도록 하는 것이다.
==3.삼음교혈 : 足太陰脾, 足太陰肝, 足少陰腎經의 교차혈로 이 혈은 補腎滋陰生髓의 효능이 있다. 髓는 精을 주관하고, 精은 髓를 만들며, 腦는 髓의 바다이므로 髓海에 여유가 있으면 뇌에 도움이 되는 것이다.

<처방 2 >
장기간 많은 중풍환자를 치료하는 과정에서 발견한 것으로, 매일 內關과 人中에 침을 찌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환자의 병세는 점점 호전되고, 의식, 운동 및 감각기능은 회복되어가는 반면, 환자들은 그 자극의 통증이 너무 심하여 침을 맞는 것을 거부하거나, 침을 맞는 횟수가 길어지면서 상술한 혈자리의 피부가 두꺼워지고 색이 침전되어 침 치료에 영향을 주게 되었다. 이런 이유로 인하여 석학민 교수는 醒腦開竅의 제 2처방을 내어 놓았고 제 1처방과 교대로 사용하도록 하였다. 제 1처방과 비교했을 때 제 2처방은 중풍의 회복기, 후유증기 및 비기질성 질환인 심계항진, 통증, 야뇨증, 陽萎 및 遺精 등에 주로 사용된다. 
A. 치료혈
主穴: 상성 (Du 23) 백회 (Du 20) 인당 (Ex-HN3) + 양측의 內關 (PC 6) 환측의 三陰交 (SP 6),  副穴 및 配穴은 처방 1과 같다.
B. 조작
**主穴: 먼저 印堂穴에 침을 피부를 따라 눕혀 찔러 침이 세워지게 한 후 가볍게 雀啄手法(瀉法)을 사용하여 눈물이 나오거나 눈에 눈물이 고일 정도까지 한다. 이어서 3寸짜리 毫針을 사용하여 上星에서부터 피부를 따라 百會까지 찌른 후, 120∼160회/분의 속도로 빠르게 큰 폭으로 회전시켜 준다.
**內關, 三陰交 및 副穴, 配穴의 수법은 처방1과 같다.
C. 方義
**印堂은 經外奇穴로 頭面에 속하고 督脈의 순행선상에 위치하고 있어 醒神淸竅의 효능이 있다.
**한방에서는 사람의 머리가 둥근 것을 하늘에 비유하여, 머리에 있는 上星穴이 별이 하늘에 있는 것과 같다 하여 이와 같이 이름을 지었고, 백회혈과 같이 督脈에 속한다.
**百會穴은 머리의 정수리에 위치해 있고 足三陽經, 肝經, 督脈 등 經脈의 교차혈이다. 독맥은 정수리에서 肝經과 만날 뿐 아니라 任脈과 이어지고, 같은 근원에서 나오므로 上星에서 百會까지 이어 위를 향해 찌르면 調陰陽, 平肝熄風하고 塡精補髓, 益氣養血하여 醒腦開竅하게 되는 것이다.

%%%%% @@소성뇌개규법 ~ 이것은 중풍의 급성기가 지나고 안정기 ,회복기로 전환이 될때 쓰이는 방법으로 흔히 말하는 중풍 후유증에 쓰이는 방법이다.. 중풍에 있어 가장중요한것은 시기이다 . 발병후 3개월이 효과가 가장좋으며, 그다음이 6개월, 1년이 지나가면 치료효과가 더디다
***머리 ~ (풍지 ,완골 )~ 우선 침을 1촌정도 반대 눈, 또는 코쪽을 향해 자침하여 보법 (1분에 200회이상, 180도 각도로 침봉을 돌려준다. 5분 실행 )을 한다. 이는 간의 치밀어 오른 풍을 가라앉히고 뇌혈관의 혈액순환 강화와, 뇌압을 떨어뜨린다. (백회, 인당, 상성 )~ 45도 각도로 1촌정도 자침한다. 이 혈자리는 독맥으로서 정신을 깨우치는 역활을 하며 손상된 뇌세포를 신속하게 재생시키는 역활을 한다.

다음글 : 동작분석침치료, 복모혈-배유혈,오수혈
이전글 : AMCT